
글로벌 진출은 제품의 해외 수출이 아니라 데이터 관점의 전환에서 시작된다 많은 청년 창업자들이 글로벌 진출을 언급할 때 현지화 또는 영어 번역 정도를 전략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공공 데이터 기반으로 창업을 설계한 창업자라면 글로벌 진출은 단순한 번역이 아니라 문제 정의를 어떻게 확장하는가에서 출발해야 한다. 공공 데이터는 국가마다 구조가 다르고 데이터 공개 방식도 상이하다. 한국의 행정 데이터는 중앙 집중형에 가까운반면, 유럽 일부 국가는 지역 기반의 분산형이다. 또, 어떤 국가는 실시간 데이터 위주로 구성되어 있고 어떤 국가는 통계 기반의 사후 분석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말은 곧 같은 문제라도 국가마다 데이터에 접근하고 해석하는 방식이 다르며, 창업자가 해결하려는 문제를 데이터 구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