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데이터 기반 청년 창업 인프라

2025년 지방 농촌 창업 특화 지역의 공공 데이터 기반 청년 창업 사례 완전 분석

berrynews 2025. 7. 4. 14:00

인구 감소 지역에서 피어나는 공공 데이터 기반 창업의 가능성

 지방 농촌은 흔히 창업의 불모지처럼 인식된다. 인프라 부족, 소비시장 한계, 낮은 접근성 등의 이유로 청년들이 창업지로 삼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5년 현재, 이러한 인식은 빠르게 바뀌고 있다. 특히 정부 주도 농촌 활성화 정책과 함께, 공공 데이터 기반 창업 인프라가 확대되면서 농촌이 새로운 창업 기회의 땅으로 부상하고 있다.

 농촌 창업은 단순한 농사나 전통적인 식품 가공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제는 정밀 농업 데이터, 고령화 인구 통계, 농산물 수급 예측, 지역 공동체 활동 정보 등을 활용해 AI 기반 농업 컨설팅, 로컬 커머스 플랫폼, 농촌 의료 솔루션, 이동형 공공서비스 같은 고부가가치 창업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정부는 특히 청년들이 이러한 창업 모델을 쉽게 시도할 수 있도록 공공 데이터 개방 범위를 농촌 지역까지 확대하고, 실증 중심의 지원 제도를 마련해 왔다.

 

지방 농촌 창업 특화 지역의 공공 데이터 기반 청년 창업

 

 이 글에서는 강원, 전남, 경북 등 대표적인 농촌 창업 특화 지자체의 데이터 인프라와 실제 창업 사례를 중심으로 청년들이 지방 농촌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창업을 현실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청년 창업에 쓰이는 농촌형 공공 데이터의 구조

 

 농촌에서 활용되는 공공 데이터는 일반 도시형 데이터와는 성격이 다르다.
 첫째, 농촌은 지리 기반 데이터(GIS)와 농업 생산 데이터가 풍부하다.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농협경제지주 등에서 제공하는 작물별 재배 현황, 토양 정보, 강우량, 병해충 발생 예측, 유통 경로 데이터는 정밀 농업 솔루션, 스마트팜 운영, 지역 식품 가공 창업에 필요한 핵심 자원이다.

 둘째, 농촌 지역은 인구 감소·고령화·교통 소외 등의 문제를 보여주는 행정 데이터가 누적되어 있다. 이 데이터는 청년 창업자가 지역 맞춤형 고령층 서비스, 이동형 공공 서비스 앱, 마을 단위 돌봄 플랫폼 등을 설계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예를 들어, 통계청과 국토교통부가 제공하는 읍·면 단위의 인구 고령화율, 응급시설 접근성, 보건소 외래 이용률 등은 농촌형 디지털 헬스케어 창업의 타깃 설정과 서비스 설계에 필수적인 근거가 된다.

 셋째, 농촌 지자체는 로컬경제 관련 정성적 데이터도 함께 제공하기 시작했다. 전남 고흥군, 강원 정선군, 경북 영양군 등에서는 마을 공동체 사업, 주민 참여예산 집행 내역, 귀농 귀  수요 데이터 등을 활용해 청년 창업자가 지역 커뮤니티와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형태의 창업모델을 시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제로 2025년 기준, 정부는 농촌형 청년 창업을 위해 ‘로컬데이터 실증마을’, ‘디지털 농촌 혁신센터’를 농촌 중심으로 전국 50여 곳에 설치해 청년들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은 실험부터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두고 있다.

 

농촌에서 실현된 공공 데이터 기반 청년 창업 사례

 

 전남 고흥의 청년 창업기업 ‘토지봇(Togibot)’은 농촌형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이 팀은 농촌진흥청이 제공하는 토양 정보, 지하수 이용량, 강수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규모 귀농인을 위한 작물 추천 및 재배 스케줄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했다. 해당 시스템은 작물 선택부터 수확시기 예측, 자동 영농일지 생성까지 가능한 솔루션으로 2025년 현재 전국 500여 귀농가에 보급되었고 지자체 농업 기술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보조금 지원도 연계되고 있다.

 다음으로 강원도 정선에서는 ‘마을케어링(MareCareing)’이라는 팀이 고령층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형 진료 예약과 응급상황 대응 플랫폼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서비스는 읍·면 단위 노인 인구 수, 병원 접근성, 최근 3년간 응급 출동 통계, 독거노인 비율 등을 분석해 고위험 마을을 지정하고 이동형 진료 차량의 경로 및 우선순위를 추천한다. 또한, 앱 사용자 가족에게 실시간 위치 공유와 건강 알림 기능까지 제공되며 현재는 지역 보건소와 협력해 시범 사업으로 운영 중이다.

 마지막으로 경북 영양에서는 ‘로컬런치(LocalLunch)’라는 푸드 스타트업이 지역 농산물 생산량 데이터와 소비자 기호 분석 데이터를 활용해 초등학교 대상 급식 식단 자동 추천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영양학 기반 식단 구성 외에도 지역 농가 매출 확대와 로컬푸드 소비 촉진 효과까지 가져온 사례로 현재 교육청, 농협, 마을영농회가 함께 참여하는 공공, 민간, 커뮤니티 협업형 창업 모델로 운영 중이다. 이처럼 농촌 창업은 도시보다 시장 규모는 작지만 정책 연계, 데이터 활용도, 지역 커뮤니티 협업 가능성 측면에서 훨씬 실험적이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다.

 

농촌에서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필요한 전략과 기회

 

 농촌형 창업은 ‘기회의 크기’보다 ‘문제의 선명도’가 더 중요한 조건이 된다. 즉, 도시는 기회가 많지만 복잡하고 경쟁이 치열한 반면 농촌은 문제는 분명하되 접근하는 사람이 적기 때문에 데이터와 문제 인식을 결합할 수 있는 창업자라면 확실한 틈새시장을 잡을 수 있다.  청년 창업자가 농촌에서 성공적으로 창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정책 흐름과 데이터를 연결하는 시각이다. 단순히 귀농귀촌 지원금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지자체의 정책 목적’과 ‘공공데이터 속 문제’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령화 대응”이라는 정책 아래 고령 인구 분포와 의료 인프라 데이터를 분석하면 의료,돌봄 스타트업의 타깃을 훨씬 정밀하게 잡을 수 있다.

 둘째, 지역 주민과의 협업 체계 구축이다. 농촌의 데이터는 수치로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실제 마을 사람들의 행동, 태도, 관심사와도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데이터 기반 창업이라고 해도 주민 인터뷰, 마을회의 참여, 커뮤니티 연계 테스트가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이를 위해 ‘청년 지역살이 실험 프로젝트’, ‘공공 데이터 기반 마을 과제 챌린지’ 같은 참여형 실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셋째,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낮추는 교육과 인프라 활용이다. 농촌 창업자 중 상당수는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능력을 자연스럽게 갖출 수 있도록 각 지역 창업센터와 농업기술센터는 무료 교육, 분석 툴 대여, 실험 공간 제공 등을 상시 운영하고 있다. 2025년 기준 전국 60여 개 농촌 지자체가 ‘데이터랩 지원센터’를 구축했고 청년 창업자에게는 우선적으로 장비, 멘토링, 클라우드 분석 자원을 배정하고 있다.

 

 

 지방 농촌은 작지만 선명한 문제를 안고 있으며 공공 데이터는 그 문제를 창업 아이템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장 실질적인 도구가 되고 있다.